Constrution & Specifications
제품정보
■ 로직 엘리먼트의 구조·제조
● 제조
로직 엘리먼트는 그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트형으로 되어 있으며, 비정상 시에 항상 체결되어 있는 스프링과 오버헤드 컨트롤 포트가 일체로 되어, 내부적인 부품이나 스크류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와 일체로 제조됩니다.
스프링은 쿠션 엘리먼트의 질량과 큰 움직임이 필요한 곳에서만 사용됩니다. 쿠션 결합 시의 유량 저항은 매우 크지만, 스트로크 길이를 제어하고 유량 제한을 하고 사용해서, 고압에서의 전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작동
오일의 흐름은 A에서 B, B에서 A 양방향 모두 가능하며, 밸브 본체의 개폐는 파이럿 실의 압력 상태에 따라 결정되므로 내부 및 외부에서 파이럿 압력을 유도하여 제어합니다.
만약 파이럿 실에 압력이 없는 경우, A 또는 B 포트의 유압이 스프링 힘보다 커지면 개폐됩니다. 또한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해당 면적비에 따라 A 또는 B 포트의 압력이 높아지면 개폐됩니다.
그림에 표시된 세 가지 면적은 기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가령 면적 A1이 100%라고 가정하면, 링형 면적 A2는 형식에 따라 7% 또는 50%인 경우가 있습니다. 면적비 A1:A2는 각각 14.3:1, 2:1이 되며, 면적 A3은 (A1+A2)이므로 면적 A1의 107%, 150%가 됩니다. 면적 A3은 각 호칭 치수마다 동일하지만, 면적 A1은 형식에 따라 다릅니다. 스프링 타입 40의 로직 엘리먼트 KLD-…-10-C40와 KLD-…-10-D40의 크래킹 압력은 파이럿 압력이 없는 경우 형식에 따라 표와 같이 됩니다.
로직크 엘레먼트 형식 | KLD…. -10-C40 | KLD… -10-D40 | |
면적비 A1:A2 | 2:1 | 14.3:1 | |
크래킹 압력 (MPa / kgf/cm²) | A포트측 | 0.4 (4) | 0.3 (2.8) |
B포트측 | 0.8 (8) | 3.9 (40) |
형식 표시
예시) KLD 16 C – 10 – C 00 – [ ]
- KLD : 로직 엘리먼트
- 16 : 호칭 치수 (Nominal Size): 16, 25, 32, 40, 50, 63, 80, 100
- C : 접속 방법 (Connection Method): C = 카트리지형 (Cartridge Type)
- 10 : 시리즈 번호 (Series No.): 10
- C : 포펫트 수압 면적비 · 포펫트 형식 (Poppet Pressure Area Ratio · Poppet Type)
기호 | 면적비 (A1:A2) | 포펫트 형식 |
A | 2:1 | 쿠션 중첩 없음 |
B | 14.3:1 | 쿠션 중첩 없음 |
C | 2:1 | 쿠션 중첩 있음 |
D | 14.3:1 | 쿠션 중첩 있음 |
- 00 : 크래킹 압력 (Cracking Pressure)
기호 | 면적비 2:1 | 면적비 14.3:1 |
00 | 노스프링 (No-spring) | 노스프링 (No-spring) |
05 | 0.05 MPa (0.5 kgf/cm²) | 0.03 MPa (0.35 kgf/cm²) |
10 | 0.1 MPa (1.0 kgf/cm²) | 0.07 MPa (0.7 kgf/cm²) |
20 | 0.2 MPa (2.0 kgf/cm²) | 0.14 MPa (1.4 kgf/cm²) |
30 | 0.29 MPa (3.0 kgf/cm²) | 0.21 MPa (2.1 kgf/cm²) |
40 | 0.39 MPa (4.0 kgf/cm²) | 0.28 MPa (2.8 kgf/cm²) |
- [ ] : 마지막 공란
- 작동유의 종류 (Type of Operating Fluid)
- 무기호= 광물성 작동유, 지방산 에스테르계 작동유, 수-글리콜계 작동유
- V= 인산 에스테르계 작동유
